본문 바로가기
서비스기획

[개발] API와 JSON

by 피카도 2022. 5. 5.

API

API : 클라이언트, 서버와 같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만든 체계

EX. 카카오톡 

1. 클라이언트 "로그인 시켜줘" (서버에 요청) 

2. 서버: 어떤 요청이 메시지를 달라는 건지, 로그인해주라는 건지 구분x

3. 이 요청을 구분하는 '체계'가 필요 → 이것이 바로 API

 

RESTful API

"

-POST : 생성해줘 

-GET: 불러와줘 

-PUT(전체)/PATCH(일부) : 바꿔줘

-DELETE : 지워줘

"

라고 요청을 보내면 

아래와 같이 서버가 숫자로 답을 함! 

 

200번대 : 잘됐어

400번대 : 클라이언트에 문제가 있어

500번대 : 서버에 문제가 있어

 


JSON

JSON : API의 유명한 형식 (포맷)

* API의 형식은 다양하게 쓸 수 있음

→ 형식이 각기 다르면 사용하기 혼란스러움

→ 'JSON'이라는 가장 유명한 포맷을 사용하자! 


참고자료

 

https://velog.io/@seul06/%ED%81%B4%EB%9D%BC%EC%9D%B4%EC%96%B8%ED%8A%B8%EC%99%80-%EC%84%9C%EB%B2%84

 

클라이언트와 서버

Cient & Sever and communication

velog.io
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16415934 

 
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

IT 시대의 필수 교양서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보내고, 컴퓨터로 일을 합니다. 또 음식점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고, 가상현실에서 게임을 즐깁니다. IT는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이야

book.naver.com

https://brunch.co.kr/@businessinsight/65

 

서버가 API를 뭐..? 개발자의 외계어 쉽게 이해하기
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: 서버, JSON, API | 확실히,개발자는 뭔가 다른 세상 사람들 같습니다. 특이한 개그코드며.. 일관적인 복장, 알 수 없는 고양이 사랑에.. 별거 아닌 이유로

brunch.co.kr

 

반응형

'서비스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개발] Git과 GitHub  (0) 2022.05.08
[개발] 웹  (0) 2022.05.06
[개발] 서버와 클라이언트/리눅스  (0) 2022.05.04
[개발]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자  (0) 2022.05.02
[개발] 컴퓨터 구성요소와 운영체제  (0) 2022.04.29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