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을 구성하는 3요소
1. HTML : 내용, 구조
-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브라우저만 있으면 동일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줌
- 프로그램 언어X (컴퓨터에게 특정 일을 시키지 X) 단지 브라우저가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!
- 정보 전달에만 초점, 디자인 부족 (이텔릭, 볼드 같은 기능만 가능) → 디자인은 CSS로 하자!
- HTML 작업을 '마크업 작업'이라고 부르기도 함 (이 작업을 하는 사람: 마크업 개발자)
2. CSS : 디자인
- HTML에 디자인을 입힐 수 있는 코드
* 정보가 HTML과 CSS로 분리되자 HTML은 정보만 표현하고, CSS 코드는 디자인만 표현할 수 있어서 깔끔해짐
→ 디자인을 수정하고 싶으면 CSS 코드만 바꾸면 되고, 정보를 수정하고 싶으면 HTML 코드만 바꾸면 됨
* HTML + CSS = 퍼블리싱
* 퍼블리싱을 하는 사람 : 퍼블리셔
3. JavaScript : 프로그래밍 언어
- 웹의 동작을 처리
(ex. 실시간 추천검색어 : 'a'를 입력 → JavaScript가 '사용자가 a를 쳤다'라는 것을 감지 → a에 해당하는 실시간 검색어 목록을 조회하는 API 요청을 네이버 서버로 보냄 (GET 요청) → 네이버 서버는 A에 대한 실시간 검색어 목록을 JSON 파일로 정리해서 응답 → JavaScript는 그 응답을 열어서 HTML로 바꿈 ( 필요하다면 CSS도 추가 가능) → 해당하는 부분에 끼워 넣어줌
웹의 특징
- 새로고침을 안하면 반영 X
- 원본만 수정하면 유저가 업데이트 하지 않아도 새로고침하면 반영이 됨 (수정이 용이)
- 웹은 새로고침을 해야함 → 매번 HTML, CSS, JavaScript를 다운로드 받아야함 → 네트워크가 느리면 사용하기 어려움 = 네트워크의 영향을 크게 받음!
* 애플리케이션 : 웹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의 영향을 조금만 받도록 만들 수 있음 ex. 카카오톡의 대화내역
참고자료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16415934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
IT 시대의 필수 교양서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보내고, 컴퓨터로 일을 합니다. 또 음식점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고, 가상현실에서 게임을 즐깁니다. IT는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이야
book.naver.com
https://www.grabbing.me/3a44d95ce316417ab182370d09fd2bfe#d7dacccb4c0d4d59a33d1da576a1ff1d
프론트엔드(웹) 큰그림 뿌셔먹기
IT 크리에이터 그랩의 YOUTUBE 구독하기 매일 발송되는 신선한 IT 뉴스레터 구독하기 더 많은 개발 지식들을 알고 싶다면? 👉🏼IT 개발자와 일할 때 필요한 모든 개발지식
www.grabbing.me
반응형
'서비스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획] 심플한 프로덕트 (0) | 2022.05.21 |
---|---|
[개발] Git과 GitHub (0) | 2022.05.08 |
[개발] API와 JSON (0) | 2022.05.05 |
[개발] 서버와 클라이언트/리눅스 (0) | 2022.05.04 |
[개발]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자 (0) | 2022.05.02 |
댓글